릴리 폰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릴리 폰스는 프랑스 출신의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가수로, 1928년 오페라 무대에 데뷔하여 1960년까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활동했다. 1931년 메트 데뷔 이후 30년 동안 300회 이상 출연하며 루치아, 라크메 등 다양한 배역을 소화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USO와 함께 군인들을 위한 공연을 펼쳤으며, 영화에도 출연했다. 1972년 링컨 센터 콘서트에서 복귀 공연을 가졌으며, 77세의 나이로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르주 출신 - 에마뉘엘 베아르
에마뉘엘 베아르는 프랑스 배우이자 사회 운동가로, 1986년 영화 《마농의 샘》으로 세자르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며 이름을 알렸고, 《미션 임파서블》 등 다양한 작품에 출연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유니세프 친선 대사로 활동하며 인권 보호 활동에도 참여했다. - 바르주 출신 - 엘렌 세가라
엘렌 세가라는 프랑스에서 태어나 가수로 활동하며, 뮤지컬 출연과 앨범 발매를 통해 성공을 거두었고, 자선 활동에도 참여했다. -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얀 르쿤
프랑스 컴퓨터 과학자 얀 르쿤은 딥 러닝 분야의 선구자로서 합성곱 신경망을 제안하여 이미지 인식 발전에 기여했고, 뉴욕 대학교 교수이자 메타 AI 연구소 초대 소장을 역임했으며, 제프리 힌턴, 요슈아 벤지오와 함께 튜링상을 공동 수상했다. - 프랑스에서 미국으로 이민간 사람 - 제라르 드브뢰
제라르 드브뢰는 프랑스 출신의 경제학자이며, 일반균형이론 연구를 통해 1983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고, 수리경제학 발전에 기여했다. - 췌장암으로 죽은 사람 - 빌리 브란트
빌리 브란트는 서독의 사회민주당 소속 정치인으로, 총리 재임 시절 동방정책을 통해 독일의 분단 극복에 기여하고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나, 기욤 사건으로 사퇴한 후에도 독일 재통일의 기반을 마련하고 사회복지 정책을 통해 서독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췌장암으로 죽은 사람 - 김학렬
김학렬은 일제강점기 출신으로 고등고시 합격 후 재무부와 경제기획원에서 요직을 거쳐 재무부 장관과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을 역임하며 박정희 정부의 경제 개발 정책 추진과 포항종합제철소 건설을 위한 경제협력자금 유치에 기여한 관료이다.
릴리 폰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앨리스 조제핀 폰스 (Alice Joséphine Pons) |
출생 | 1898년 4월 12일 |
출생지 | 프랑스 바르주 드라기냥 |
사망 | 1976년 2월 13일 |
사망지 |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
묘지 | 칸 그랑 자 공동묘지 |
국적 | 프랑스 미국 |
직업 | 오페라 가수 배우 |
활동 기간 | 1920년대–1970년대 |
알려진 역할 |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리릭 콜로라투라 소프라노 |
결혼 정보 | |
배우자 | 아우구스트 메스리츠 (1930년 결혼, 1933년 이혼) 앙드레 코스텔라네츠 (1938년 결혼, 1958년 이혼) |
학력 | |
학교 | 파리 국립 고등 음악・무용 학교 |
음악 경력 | |
음역 | 소프라노 |
2. 생애
알리스 조제핀 퐁스(Alice Joséphine Pons), 예명 릴리 폰스(Lily Pons)는 프랑스 프로방스 드라귀냥에서 프랑스인 아버지와 이탈리아 태생의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파리 음악원에서 피아노를 전공하여 15세에 1등상을 받았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칸에서 부상병들을 위해 노래하면서 성악에 재능을 보였다.
1925년경 소프라노 디나 뵈머(Dyna Beumer)와 출판업자 오귀스트 메스리츠(August Mesritz)의 격려로 파리에서 본격적인 성악 레슨을 받기 시작했으며, 나중에는 뉴욕에서도 공부를 이어갔다.[2] 1930년에는 자신을 후원했던 메스리츠와 결혼했으나 1933년 이혼했다.[1]
1928년 프랑스 뮐루즈에서 레오 델리브의 오페라 ''라크메'' 주역으로 성공적으로 데뷔한 후, 여러 프랑스 지방 오페라 극장에서 활동했다. 테너이자 기획자였던 조반니 제나텔로에게 발탁되어 미국으로 건너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메트) 오디션을 보았고, 당시 스타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를 찾고 있던 메트와 즉시 계약을 맺었다.
1931년 1월 3일, 도니체티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에서 루치아 역으로 메트에 데뷔하여 하룻밤 사이에 스타로 떠올랐다. 이후 30년간 메트의 간판 소프라노로 활약하며 루치아, 라크메, 질다(리골레토), 로지나(세비야의 이발사) 등 10개의 역할로 총 300회 무대에 섰다. 그녀의 인기는 대단하여 1939년 시카고 그랜트 파크 음악 축제 무료 콘서트에는 30만 명이 넘는 관객이 모이기도 했다.[4] 1940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1938년 지휘자 앙드레 코스테라네츠와 두 번째로 결혼했으며, 이 결혼은 1958년까지 이어졌다. 1955년에는 부부가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에 집을 마련했다.[3]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정규 시즌 공연을 취소하고 USO와 함께 북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등지의 전선을 방문하며 군인들을 위한 위문 공연을 펼쳤다.[5] 또한 1930년대 후반에는 RKO에서 제작한 세 편의 영화(''I Dream Too Much''(1935), ''That Girl from Paris''(1936), ''Hitting a New High''(1937))에 주연으로 출연하며 영화 배우로서 활동하기도 했다.
폰스는 1960년 메트 갈라 콘서트에서 ''리골레토''의 아리아 "그리운 이름"을 부른 것을 끝으로 메트 무대에서 은퇴했으며,[7] 1962년 포트워스 오페라에서 젊은 플라시도 도밍고와 함께 공연한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를 마지막으로 오페라 무대를 떠났다.[1] 은퇴 후에도 간간이 콘서트를 열었으며, 1972년 링컨 센터에서 열린 복귀 콘서트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76년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췌장암으로 향년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유해는 고향인 프랑스 칸의 Cimetière du Grand Jas에 안장되었다.[9] 메릴랜드주의 릴리폰스(Lilypons) 마을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10] 조지 거슈윈은 그녀에게 헌정하는 곡을 작곡하던 중 사망하기도 했다.[11][12][13][14][15][16][17][18] 애완동물로 오셀롯을 길렀던 일화도 유명하다.[19]
2. 1. 초기 생애와 교육
폰스는 프로방스 드라귀냥에서 프랑스인 아버지 레오나르 루이 오귀스트 앙투안 퐁스와 이탈리아 태생의 어머니 마리아(결혼 전 성은 나소)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후에 마리 페트로닐 퐁스로 알려졌다. 그녀는 처음 파리 음악원에서 피아노를 공부하여 15세에 1등상을 받았다.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어머니와 여동생 줄리에트(1902년 12월 22일 출생 – 1995년 사망)와 함께 칸으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프랑스 군대를 지원하기 위해 열린 리셉션과 병원으로 개조된 유명한 칼튼 호텔에서 피아노를 연주하고 병사들을 위해 노래했는데, 그곳에서 어머니는 자원 간호사로 일했다.
1925년, 소프라노 Dyna Beumernl와 그녀의 성악 경력을 후원하기로 동의한 성공적인 출판업자인 어거스트 메스리츠의 격려로 그녀는 Alberto de Gorostiagaes와 함께 파리에서 성악 수업을 시작했다. 그녀는 나중에 뉴욕에서 앨리스 제필리와 함께 성악을 공부했다.[2] 1930년 10월 15일, 폰스는 첫 번째 남편인 메스리츠와 결혼하여 그 후 몇 년 동안 주부로 지냈다. 이 결혼은 1933년 12월 7일에 이혼으로 끝났다.[1]
2. 2. 오페라 경력
1925년, 소프라노 디나 뵈머(Dyna Beumer)와 성공적인 출판업자 오귀스트 메스리츠(August Mesritz)의 격려로 파리에서 알베르토 데 고로스티아가(Alberto de Gorostiaga)에게 성악 수업을 받기 시작했다. 메스리츠는 폰스의 성악 경력을 후원하기로 약속했다. 이후 뉴욕에서 앨리스 제필리와 함께 성악을 공부하기도 했다.[2] 1930년 10월 15일, 폰스는 첫 남편인 메스리츠와 결혼했으나, 이 결혼은 1933년 12월 7일 이혼으로 끝났다.[1]
폰스는 1928년 뮐루즈에서 레오 델리브의 오페라 ''라크메''의 주역으로 성공적인 오페라 데뷔를 했다. 이후 레이날도 한의 지휘 아래 여러 프랑스 지방 오페라 하우스에서 콜로라투라 역할을 맡았다. 그녀는 극적인 테너이자 기획자인 조반니 제나텔로에게 발탁되어 뉴욕으로 건너갔고, 메트로폴리탄 오페라(메트)의 총지배인 줄리오 가티-카사자 앞에서 오디션을 보았다. 당시 메트는 1930년 1월 아멜리타 갈리-쿠르치가 은퇴한 후 스타 콜로라투라 소프라노가 필요했던 상황이었다. 가티-카사자는 폰스를 즉시 고용했고, 그녀는 RCA 빅터와 음반 계약도 체결했다.
1931년 1월 3일, 미국에서는 아직 무명이었던 폰스는 도니체티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에서 루치아 역으로 예고 없이 메트 데뷔를 했다. 이때부터 그녀의 이름은 "릴리(Lily)"로 표기되었다. 그녀의 공연은 엄청난 찬사를 받았고, 순식간에 스타덤에 올라 갈리-쿠르치의 주요 콜로라투라 역할을 대부분 이어받았다. 이후 그녀의 경력은 주로 미국에서 이루어졌으며, 1940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1938년부터 1958년까지는 지휘자 앙드레 코스테라네츠와 결혼 생활을 했으며, 1955년에는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에 집을 마련했다.[3]
폰스는 30년 동안 메트의 수석 소프라노로 활동하며, 1931년부터 1960년까지 10개의 역할로 300회 무대에 섰다. 그녀가 가장 자주 공연한 역할은 루치아(93회), 라크메(50회), 베르디의 ''리골레토''의 질다(49회),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의 로지나(33회)였다. 1939년에는 시카고의 그랜트 파크 음악 축제에서 열린 무료 콘서트에서 30만 명이 넘는 기록적인 청중을 모으기도 했다.[4]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4년, 폰스는 뉴욕에서의 가을과 겨울 시즌 공연을 취소하고 USO와 함께 순회하며 군인들을 위한 위문 공연에 나섰다. 당시 남편이었던 앙드레 코스테라네츠는 미군 병사들로 구성된 밴드를 지휘하며 그녀의 노래에 반주를 맞췄다. 1944년 이들 부부는 북아프리카, 이탈리아, 중동, 페르시아만, 인도, 버마의 군사 기지를 방문하여 공연했다.[5] 야외 공연 중 강한 햇볕 아래에서는 어깨 끈 없는 이브닝 가운 차림으로 노래했으며, 곡 사이에는 머리에 젖은 수건을 올려 열기를 식혀야 했다. 1945년에는 중국, 벨기에, 프랑스, 독일 등 전선에 가까운 지역까지 순회공연을 이어갔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도 순회공연을 계속하며 1945년 7월 20일 밀워키에서 3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는 등 기록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같은 달에는 가에타노 메롤라의 지휘로 멕시코 시티에서도 공연했다.
1949년에는 장 콕토의 영화 ''시인의 피''에 대한 시나리오와 에세이를 영어로 번역하며, 이 영화를 "이 위대한 프랑스 시각 음악 작품"이라고 평했다.[6]
그녀의 주요 레퍼토리는 다음과 같다.
오페라 | 역할 |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루치아 |
리골레토 | 질다 [23] |
세비야의 이발사 | 로지나 [24] |
호프만의 이야기 | 올림피아 [25] |
미뇽 | 필리네 [26] |
라크메 | 라크메 [27] |
몽유병의 여인 | 아미나 [28] |
샤모니의 린다 | 린다 [29] (1934년 3월 1일 메트 초연) |
황금 수탉 | 셰마하 여왕 [30] |
연대의 아가씨 | 마리 [31] |
라 트라비아타 | 비올레타 [32] (샌프란시스코 오페라에서 공연) |
폰스는 드뷔시의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상드''의 멜리상드 역할도 배웠으나, 공연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소프라노 비두 사야오가 이미 그 역할의 대표 주자라고 생각했고, 역할의 음역대가 자신의 고음역보다는 중간 음역에 주로 놓여 있었기 때문이라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폰스의 메트 마지막 공연은 1960년 12월 14일 갈라 공연의 일부로, ''리골레토'' 중 아리아 "그리운 이름"을 불렀다.[7]
그녀는 파리의 파리 오페라, 런던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 브뤼셀의 라 모네 극장,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테아트로 콜론, 시카고 오페라 등 세계 유수의 오페라 하우스에 객원 출연했다. 그녀의 마지막 오페라 출연은 1962년 포트워스 오페라에서였으며, 당시 21세였던 플라시도 도밍고가 에드가르도 역을 맡은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에서 루치아 역을 연기했다.[1] 1960년 2월 11일에는 NBC의 ''테네시 어니 포드 주연의 포드 쇼''에 출연하기도 했다.[8]
은퇴 후에도 콘서트를 계속했으며, 1972년 5월에는 링컨 센터에서 전 남편 앙드레 코스테라네츠의 지휘로 열린 복귀 콘서트가 큰 화제를 모았다. 콘서트 티켓은 판매 시작 한 시간 만에 매진되었다. 1972년 5월 31일에 열린 이 콘서트에서는 전성기 시절의 콜로라투라 아리아 대신 당시 74세였던 그녀의 음역에 더 적합한 곡들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그녀는 이전 콘서트에서처럼 "에스트렐리타(Estrellita)"를 불렀고, 마지막 음표가 끝난 후 오랫동안 기립 박수를 받았다.
2. 3. 전쟁 중 활동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폰스는 뉴욕에서의 가을과 겨울 시즌 공연을 취소하고 USO 순회공연에 참여하여 군인들을 위한 위문 공연을 펼쳤다. 당시 남편이었던 지휘자 앙드레 코스테라네츠는 미군 병사들로 구성된 밴드를 지휘하며 폰스의 노래에 반주를 맞췄다. 1944년, 이들은 북아프리카, 이탈리아, 중동, 페르시아만, 인도, 버마 등지의 군사 기지를 방문하여 공연했다.[5] 야외 공연장의 뜨거운 햇볕 아래에서도 폰스는 어깨끈 없는 이브닝 가운을 입고 공연했으며, 노래 중간중간 머리에 젖은 수건을 올려 더위를 식히기도 했다.1945년에는 중국, 벨기에, 프랑스, 독일 등 전선에 가까운 지역까지 순회공연을 이어갔다. 귀국 후 그녀는 미국을 순회하며 1945년 7월 20일 3만 명이 공연을 관람한 밀워키와 같은 도시에서 기록적인 관람객 수를 경신했다. 같은 달, 그녀는 또한 가에타노 메롤라의 지휘로 멕시코 시티에서 공연했다.
2. 4. 영화 및 기타 활동
폰스는 RKO에서 제작한 세 편의 영화에 출연했다.
- ''I Dream Too Much'' (1935) - 헨리 폰다와 공동 주연
- ''That Girl from Paris'' (1936)
- ''Hitting a New High'' (1937)
또한 1947년 영화 《카네기 홀》(Carnegie Hall)에서는 본인 역으로 출연하여 아리아를 불렀다.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폰스는 뉴욕에서의 정규 시즌 공연을 취소하고 USO와 함께 순회하며 군인들을 위한 위문 공연을 펼쳤다. 그녀의 남편 앙드레 코스테라네츠는 미군 병사들로 구성된 밴드를 지휘하며 폰스의 노래에 반주를 맞췄다. 1944년, 이들은 북아프리카, 이탈리아, 중동, 페르시아만, 인도, 버마의 군사 기지에서 공연했다.[5] 야외 공연 시 햇볕이 너무 강해, 폰스는 어깨 끈 없는 이브닝 가운을 입고 곡 사이에 머리에 젖은 수건을 올려놓기도 했다.
1945년, USO 순회공연은 중국, 벨기에, 프랑스, 독일로 이어졌으며, 전선 근처에서도 공연이 이루어졌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에도 순회공연을 계속했으며, 1945년 7월 20일 밀워키에서는 3만 명의 관객이 모이는 등 기록적인 관객 수를 기록했다. 같은 달, 가에타노 메롤라의 지휘 아래 멕시코 시티에서도 공연했다.
1949년에는 장 콕토의 영화 ''시인의 피''에 대한 시나리오와 에세이를 영어로 번역하며, 콕토의 영화를 "이 위대한 프랑스 시각 음악 작품"이라고 평가했다.[6]
1960년 2월 11일, 폰스는 NBC의 텔레비전 쇼 ''테네시 어니 포드 주연의 포드 쇼''에 출연했다.[8]
폰스는 공식 은퇴 후에도 콘서트를 계속 열었으며, 특히 1972년 5월에는 전 남편 앙드레 코스테라네츠의 지휘 아래 링컨 센터에서 특별 콘서트를 열며 다시 무대에 섰다. 이 콘서트의 티켓은 판매 시작 한 시간 만에 매진될 정도로 큰 관심을 모았다. 1972년 5월 31일에 열린 이 콘서트에서는 전성기 시절의 콜로라투라 아리아 대신 당시 74세였던 그녀의 음역에 더 적합한 곡들을 선보였다. 그녀는 이전 콘서트처럼 프로그램에 "에스트렐리타"를 포함시켰고, 마지막 음표 후 오랫동안 기립 박수를 받았다.
2. 5. 은퇴와 죽음
폰스는 77세의 나이로 췌장암으로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사망했다. 그녀의 유해는 그녀의 출생지로 옮겨져 칸의 Cimetière du Grand Jas에 안장되었다.[9] 그녀의 유일한 직계 친척이자 생존자는 그녀의 조카인 존 드 브리(그녀의 여동생 줄리엣 폰스의 아들)로, 플로리다에 거주하는 고고학자이다.
3. 유산
메릴랜드주 프레데릭 카운티에 있는 한 마을은 그녀의 이름을 따서 '릴리폰스'라고 명명되었다. 이 마을은 프레데릭에서 남쪽으로 약 16.09km 떨어져 있다.[10]
조지 거슈윈은 1937년 사망 당시 폰스에게 헌정하는 곡을 작곡하고 있었다. 이 미완성 스케치는 거슈윈 사후에 발견되었고, 나중에 마이클 틸슨 토마스가 완성하여 "릴리 폰스를 위하여"라는 제목을 붙였다.[11][12][13][14][15][16][17][18]
폰스는 애완동물 오셀롯 '이타(Ita)'를 뉴욕 동물원에 기증했다. 원래 브라질의 친구에게 아기 재규어로 알고 받았으나, 맨해튼 어퍼 웨스트 사이드의 안소니아 아파트에서 키우기에는 너무 위험해졌기 때문이다. 폰스와 이타는 서로 애착이 깊었지만, 이타가 방문객에게 으르렁거리는 등 위험하게 여겨졌다.[19]
1937년 메리 멜로디 만화 ''The Woods Are Full of Cuckoos''에서는 폰스를 '릴리 스완스(Lily Swans)'라는 이름으로 캐리커처했다.
1937년 매사추세츠주 메드퍼드에 있는 홉스 주니어 고등학교 학생 웨인 E. 휘트모어의 제안으로, 보스턴 앤드 메인 철도는 4-8-2 마운틴형 기관차 4108호에 폰스의 이름을 붙였다. 폰스는 보스턴의 노스 스테이션에서 열린 4108호 및 다른 학생 제안 이름의 기관차 헌정식에 초청받았다.[20]
스티븐 프리어스 감독의 2016년 영화 ''플로렌스 포스터 젱킨스''에서는 배우 아이다 가리풀리나가 릴리 폰스 역을 맡았다.
1930년대 대공황 시기에 제작된 '릴리 폰스'라는 이름의 유리 제품 라인이 있다. 이 제품들은 다양한 색상으로 출시되었으며, 연꽃 잎과 꽃 모양을 하고 있다.[21]
4. 출연 작품
릴리 폰스는 프랑스 태생의 미국 소프라노 가수로, 주로 오페라 무대에서 활약하며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특히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에서 30년간 주역으로 활동하며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리골레토, 라크메 등 다수의 작품에서 뛰어난 콜로라투라 기교를 선보였다. 오페라뿐만 아니라 영화에도 출연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누렸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USO 순회공연을 통해 군인들을 위문하기도 했다. 그녀의 주요 오페라 역할, 음반, 출연 영화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오페라
폰스는 1928년 뮐루즈에서 레오 델리브의 오페라 ''라크메''의 주역으로 성공적인 오페라 데뷔를 하였고, 레이날도 한의 지휘 아래 여러 프랑스 지방 오페라 하우스에서 콜로라투라 역할을 맡았다. 그녀는 극적인 테너이자 기획자인 조반니 제나텔로에 의해 발탁되어 뉴욕으로 건너가 메트로폴리탄 오페라의 총지배인 줄리오 가티-카사자 앞에서 오디션을 보았다. 메트는 1930년 1월 아멜리타 갈리-쿠르치가 은퇴한 후 스타 콜로라투라 소프라노를 찾고 있었고, 가티-카사자는 폰스를 즉시 고용했으며, 그녀는 RCA 빅터와 음반 계약도 체결했다.1931년 1월 3일, 당시 미국에서는 무명이었던 폰스는 도니체티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에서 루치아 역으로 예고 없이 메트 데뷔를 했고, 이때부터 '릴리'라는 이름으로 활동했다. 그녀의 공연은 엄청난 찬사를 받았으며, 단숨에 스타로 발돋움하여 갈리-쿠르치의 주요 콜로라투라 역할을 대부분 물려받았다. 이후 그녀의 경력은 주로 미국에서 이루어졌고, 1940년에는 미국 시민권을 취득했다. 1938년부터 1958년까지 지휘자 앙드레 코스테라네츠와 결혼 생활을 했으며, 1955년에는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에 집을 지었다.[3]
폰스는 30년 동안 메트의 수석 소프라노로 활동하며, 1931년부터 1960년까지 10개의 역할로 300회 무대에 섰다. 그녀가 가장 자주 공연한 역할은 루치아(93회), 라크메(50회), 베르디의 ''리골레토''의 질다(49회), 로시니의 ''세비야의 이발사''의 로지나(33회)였다. 1939년에는 시카고의 그랜트 파크 음악 축제에서 열린 무료 콘서트에 30만 명이 넘는 기록적인 청중을 모으기도 했다.[4]
1944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폰스는 뉴욕에서의 가을과 겨울 시즌 공연을 취소하고 USO와 함께 순회하며 군인들을 위한 위문 공연을 펼쳤다. 그녀의 남편 앙드레 코스테라네츠는 미군으로 구성된 밴드를 지휘하며 반주를 맡았다. 1944년 그들은 북아프리카, 이탈리아, 중동, 페르시아만, 인도, 버마의 군사 기지에서 공연했다.[5] 야외 공연 시 햇빛이 너무 강렬했기 때문에 폰스는 어깨 끈 없는 이브닝 가운을 입고 노래했으며, 곡 사이에는 머리에 젖은 수건을 올려놓기도 했다. 1945년에는 중국, 벨기에, 프랑스, 독일 등 전선 근처에서 공연을 이어갔다. 미국으로 돌아온 후 순회공연을 계속했으며, 1945년 7월 20일 밀워키에서는 3만 명의 관객 앞에서 공연하는 등 기록적인 관객 수를 경신했다. 같은 달, 가에타노 메롤라의 지휘로 멕시코 시티에서도 공연했다.
1949년 폰스는 장 콕토의 영화 ''시인의 피''의 시나리오와 에세이를 영어로 번역하며, 이 영화를 "이 위대한 프랑스 시각 음악 작품"이라고 평했다.[6]
그녀의 레퍼토리에는 자크 오펜바흐의 ''호프만의 이야기''의 올림피아, 앙브루아즈 토마의 ''미뇽''의 필린, 빈센초 벨리니의 ''몽유병자''의 아미나, 도니체티의 ''연대의 딸''의 마리, 델리브의 ''라크메''의 타이틀 롤,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황금 수탉''의 셰마카 여왕, 그리고 도니체티의 ''리다 디 샤무니''의 타이틀 롤(1934년 3월 1일 메트 초연에서 이 역할을 맡았다) 등이 포함된다. 폰스가 메트 첫 시즌에 배운 마지막 주요 새 역할은 ''라 트라비아타''의 비올레타였으며, 이 역할은 샌프란시스코 오페라에서 공연했다. 그녀는 드뷔시의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상드''의 멜리상드 역할도 배웠으나 공연하지는 않았다. 훗날 인터뷰에서 밝힌 이유는 두 가지였다. 첫째, 소프라노 비두 사야오가 이미 그 역할의 대가라고 생각했고, 둘째, 역할의 테시투라가 고음역보다는 소프라노의 중간 음역에 주로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1960년 12월 14일 메트에서의 마지막 공연은 갈라 콘서트의 일환으로 ''리골레토'' 중 아리아 "그리운 이름"을 부른 것이었다.[7]
폰스는 파리의 파리 오페라, 런던의 로열 오페라 하우스, 브뤼셀의 라 모네 극장, 부에노스아이레스의 테아트로 콜론, 시카고 오페라 등에서도 객원 출연했다. 그녀의 마지막 오페라 출연은 1962년 포트워스 오페라에서 당시 21세였던 플라시도 도밍고가 에드가르도 역을 맡은 공연에서 루치아 역을 맡은 것이었다.[1] 1960년 2월 11일에는 NBC의 ''테네시 어니 포드 주연의 포드 쇼''에 출연했다.[8]
은퇴 후에도 콘서트를 계속했지만, 가장 큰 주목을 받은 것은 1972년 5월이었다. 언론은 그녀가 전 남편 앙드레 코스테라네츠의 지휘로 링컨 센터에서 열리는 콘서트를 위해 은퇴를 번복하고 무대에 복귀한다고 발표했다. 콘서트 티켓은 판매 시작 한 시간 만에 매진되었다. 1972년 5월 31일 열린 이 역사적인 콘서트의 프로그램에는 전성기 시절 불렀던 콜로라투라 아리아는 포함되지 않았지만, 당시 74세였던 그녀의 음역에 더 적합한 곡들로 구성되었다. 이전 콘서트에서처럼 프로그램에 "에스트렐리타"를 포함시켰고, 마지막 음표를 부른 후 오랫동안 기립 박수를 받았다.
=== 주요 역할 ===
오페라 | 역할 |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루치아 |
리골레토 | 질다[23] |
세비야의 이발사 | 로지나[24] |
호프만의 이야기 | 올림피아[25] |
미뇽 | 필리네[26] |
라크메 | 라크메[27] |
몽유병의 여인 | 아미나[28] |
샤모니의 린다 | 린다[29] |
황금 수탉 | 셰마카 여왕[30] |
연대의 아가씨 | 마리[31] |
라 트라비아타 | 비올레타[32] |
=== 주요 음반 ===
- 박쥐 (1951년, 컬럼비아 레코드): 유진 오르만디 지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관현악단 연주. Charles Kullman|찰스 쿨먼eng(아이젠슈타인), Ljuba Welitsch|류바 벨리치eng(로잘린데), 리처드 터커 (알프레도), 폰스 (아델) ※영어 노래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1954년, 컬럼비아): 파우스트 클레바 지휘 메트로폴리탄 오페라 관현악단 연주. 폰스 (루치아), 리처드 터커 (에드가르도), Frank Guarrera|프랭크 과레라eng (엔리코)
4. 2. 영화
릴리 폰스는 RKO 영화 세 편에 출연했다. 첫 영화는 헨리 폰다와 함께 출연한 《나는 너무 많은 꿈을 꾼다》(1935)이다. 이후 《파리에서 온 그 소녀》(1936)와 《새로운 전성기》(1937)에 연이어 출연했다. 또한 1947년 영화 《카네기 홀》에서는 본인 역으로 직접 출연하여 아리아를 불렀다.- 나는 너무 많은 꿈을 꾼다 (1935)
- 파리에서 온 그 소녀 (1936)
- 새로운 전성기 (1937)
- 카네기 홀 (1947)
참조
[1]
간행물
Tiger Lily
http://www.operanews[...]
2011-10
[2]
뉴스
Broadway Songstress, Captured by Films, Looks to Rosy Future
1951-10-28
[3]
서적
The Best Guide Ever to Palm Springs Celebrity Homes
Horatio Limburger Oglethorpe
2012
[4]
서적
Sounds of Chicago's Lakefront: A Celebration Of The Grant Park Music Festival
Chicago's Book Press
[5]
웹사이트
Lily Pons Here
https://archive.toda[...]
Carl Warren Weidenburner
2010-10-19
[6]
문서
"Translator's Note" in Jean Cocteau, ''The Blood of a Poet''
Bodley Press
1949
[7]
웹사이트
Gala performance
http://archives.meto[...]
Metropolitan Opera House
1960-12-14
[8]
웹사이트
The Ford Show, Starring Tennessee Ernie Ford
https://web.archive.[...]
www.ernieford.com
2010-11-25
[9]
웹사이트
Cannes Tourist Office
https://www.cannes-d[...]
[10]
웹사이트
Lilypons, Maryland (MD)
https://web.archive.[...]
2009-12-08
[11]
웹사이트
Gershwin: Rhapsody In Blue, Preludes for Piano, Short Story, Violin Piece, Second Rhapsody, For Lily Pons, Sleepless Night, Promenade by Los Angeles Philharmonic & Michael Tilson Thomas
https://itunes.apple[...]
1985-06-23
[12]
웹사이트
For Lily Pons, for piano (Gershwin… |); Recording Details and Tracks
https://www.allmusic[...]
[13]
웹사이트
George Gershwin, Michael Tilson Thomas, Los Angeles Philharmonic Orchestra – Gershwin: Rhapsody in Blue / Second Rhapsody For Orchestra with Piano / Klavier / Preludes Unpublished Piano Works
https://www.amazon.c[...]
[14]
웹사이트
Melody No. 79 "For Lily Pons"(Arr. M. Tilson Thomas for Piano) by Michael Tilson Thomas;Los Angeles Philharmonic on Amazon Music
https://www.amazon.c[...]
[15]
웹사이트
Gershwin Stars in a Display of American Musical Variety
https://www.nytimes.[...]
1985-08-18
[16]
서적
The Gershwin Years: George and Ira
https://archive.org/[...]
Hachette Books
1996-08-22
[17]
문서
"For Lily Pons (Gershwin Melody #79)" performed by the Los Angeles Philharmonic & Michael Tilson Thomas on Gershwin: Rhapsody in Blue, Preludes for Piano, Short Story, Violin Piece, Second Rhapsody, For Lily Pons, Sleepless Night, Promenade
Sony Classical/Legacy
[18]
웹사이트
Recommended Recordings of Music by George Gershwin (Music Feature)
http://music.minneso[...]
[19]
뉴스
Met Opera's Lily Pons leaves pet at Bronx Zoo
2015-02-20
[20]
Youtube
Minuteman Steam Episode 10: The Mighty Mountains
https://www.youtube.[...]
2023-12-22
[21]
웹사이트
Lily Pons
http://www.carnivalh[...]
2021-01-15
[22]
웹사이트
Lucia di Lammermoor {147} Matinee ed. Metropolitan Opera House: 01/3/1931
http://archives.meto[...]
[23]
웹사이트
Rigoletto {179} Metropolitan Opera House: 01/7/1931
https://archives.met[...]
[24]
웹사이트
Il Barbiere di Siviglia {145} American Academy of Music, Philadelphia, Pennsylvania: 01/27/1931
https://archives.met[...]
[25]
웹사이트
Les Contes d'Hoffmann {46} Metropolitan Opera House: 02/14/1931
https://archives.met[...]
[26]
웹사이트
Mignon {53} Metropolitan Opera House: 04/6/1931
https://archives.met[...]
[27]
웹사이트
Lakmé {12} Metropolitan Opera House: 02/19/1932
https://archives.met[...]
[28]
웹사이트
La Sonnambula {21} Metropolitan Opera House: 03/16/1932
https://archives.met[...]
[29]
웹사이트
Linda di Chamounix {1} Matinee ed. Metropolitan Opera House: 03/1/1934(Metropolitan Opera Premiere)
https://archives.met[...]
[30]
웹사이트
Cavalleria Rusticana {300} Le Coq d'Or {51} Matinee ed. Metropolitan Opera House: 02/4/1937
https://archives.met[...]
[31]
웹사이트
La Fille du Régiment {27} Matinee Broadcast ed. Metropolitan Opera House: 12/28/1940
https://archives.met[...]
[32]
웹사이트
San Francisco Opera, War Memorial Opera House, October 1951
http://archive.sfop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